시작하기

/

용어 정리

용어 정리

이 페이지에서는 Mori 개발자센터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을 정리해두었어요.

각 용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면, API를 연동하거나 사용할 때 훨씬 수월해질 거예요.

애플리케이션

AI 학습 방지 기능을 적용하고자 하는 고객사의 서비스, 즉 연동 대상이 되는 앱을 뜻해요. 문서에서는 줄여서 ‘앱’ 또는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부릅니다.

엑세스 토큰

OAuth 2.0 방식으로 인증이 완료되면 발급되는 토큰이에요. 이 토큰을 이용해야만 API를 호출할 수 있어요. 즉, 인증된 사용자만 Mori AP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장치라고 보면 됩니다. API를 호출할 때는 요청 헤더에 반드시 이 토큰을 담아야 해요.

API

API는 Mori 서비스와 고객사의 앱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정해놓은 통신 규칙이에요. 이 규칙을 통해 두 시스템이 서로 소통할 수 있게 됩니다.

API Domain

Mori의 API를 테스트하거나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서버 주소(API_DOMAIN)를 알아야 해요. 예를 들어, 실제 서비스용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PRODUCTTION API_DOMAIN}}

https://morimori.app

웹훅 (Webhooks)

웹훅은 서버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그 사실을 고객사의 앱에 자동으로 알려주는 방식이에요. 흔히 API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계속 물어보는 ‘폴링’ 방식으로 동작하지만, 웹훅은 서버가 먼저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주는 ‘푸시 알림’ 같은 거예요.

예를 들어 누군가가 파일을 업로드했다면, 이 정보를 웹훅을 통해 바로 전달받을 수 있어요. 덕분에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불필요한 API 호출도 줄일 수 있어요.

멱등성 (Idempotency)

멱등성은 똑같은 요청을 여러 번 보내더라도 결과가 변하지 않는 성질을 말해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요청이 실패해서 다시 시도해야 할 때, 같은 요청을 다시 보내도 중복 처리 없이 정확히 한 번만 처리되도록 도와줘요.

이런 성질을 가진 API는 더 안정적이고, 예기치 못한 오류나 중복 처리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에요. Mori의 일부 API도 멱등성을 지원하고 있어요.

시작하기

/

용어 정리

용어 정리

이 페이지에서는 Mori 개발자센터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을 정리해두었어요.

각 용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면, API를 연동하거나 사용할 때 훨씬 수월해질 거예요.

애플리케이션

AI 학습 방지 기능을 적용하고자 하는 고객사의 서비스, 즉 연동 대상이 되는 앱을 뜻해요. 문서에서는 줄여서 ‘앱’ 또는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부릅니다.

엑세스 토큰

OAuth 2.0 방식으로 인증이 완료되면 발급되는 토큰이에요. 이 토큰을 이용해야만 API를 호출할 수 있어요. 즉, 인증된 사용자만 Mori AP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장치라고 보면 됩니다. API를 호출할 때는 요청 헤더에 반드시 이 토큰을 담아야 해요.

API

API는 Mori 서비스와 고객사의 앱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정해놓은 통신 규칙이에요. 이 규칙을 통해 두 시스템이 서로 소통할 수 있게 됩니다.

API Domain

Mori의 API를 테스트하거나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서버 주소(API_DOMAIN)를 알아야 해요. 예를 들어, 실제 서비스용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PRODUCTTION API_DOMAIN}}

https://morimori.app

웹훅 (Webhooks)

웹훅은 서버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그 사실을 고객사의 앱에 자동으로 알려주는 방식이에요. 흔히 API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계속 물어보는 ‘폴링’ 방식으로 동작하지만, 웹훅은 서버가 먼저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주는 ‘푸시 알림’ 같은 거예요.

예를 들어 누군가가 파일을 업로드했다면, 이 정보를 웹훅을 통해 바로 전달받을 수 있어요. 덕분에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불필요한 API 호출도 줄일 수 있어요.

멱등성 (Idempotency)

멱등성은 똑같은 요청을 여러 번 보내더라도 결과가 변하지 않는 성질을 말해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요청이 실패해서 다시 시도해야 할 때, 같은 요청을 다시 보내도 중복 처리 없이 정확히 한 번만 처리되도록 도와줘요.

이런 성질을 가진 API는 더 안정적이고, 예기치 못한 오류나 중복 처리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에요. Mori의 일부 API도 멱등성을 지원하고 있어요.

Getting Started

/

Glossary

Glossary

This page provides definitions of terms frequently used in the MORI Developer Center.

Understanding each term precisely will make it much easier to integrate and use the API.

Application

It refers to the client’s service that wants to apply the AI training prevention feature — in other words, the app to be integrated.
In this documentation, it is referred to simply as the “app” or “application.”

Access Token

It is a token issued aft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using the OAuth 2.0 method.
You must use this token to call the API — it acts as a security mechanism ensuring that only authenticated users can access the MORI API.
When making an API request, this token must be included in the request header.

API

An API is a set of communication rules that allow the MORI service and the client’s app to exchange data.
Through these rules, the two systems can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PI Domain

To test or use MORI’s API in a production environment, you need to know the server address (API_DOMAIN).
For example, the production endpoint is as follows:

{{PRODUCTION API_DOMAIN}}

https://morimori.app

Webhook

A webhook is a mechanism that automatically notifies the client’s app when an event occurs on the server.
While APIs typically work in a “polling” manner, where the client repeatedly requests updates from the server, webhooks operate like “push notifications,” where the server proactively sends updates to the client.

For example, if someone uploads a file, that information can be sent immediately through a webhook.
This enables real-time processing and reduces unnecessary API calls.

Idempotency

Idempotency refers to the property of an operation that produces the same result even if the same request is sent multiple times.
For example, if a request fails due to a network issue and needs to be retried, idempotency ensures that resending the same request will be processed exactly once without duplication.

APIs with this property are more reliable and help prevent unexpected errors or duplicate processing.
Some of MORI’s APIs also support idempo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