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동 안내
/
연동 기본 정보
연동 기본 정보
MORI API를 통해 Anti-AI 필터를 적용해보세요.
앱 인증
고객사의 애플리케이션이 MORI API에 접근하려면, 반드시 액세스 토큰을 사용한 인증이 필요해요.
일부 API를 호출할 때는 이 액세스 토큰이 자격 증명(Credential) 역할을 하며, 서버로 전송되어야 합니다.
액세스 토큰을 발급받는 온보딩 절차는 아래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API 요청 재시도
API 요청은 다양한 이유로 실패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오류, 요청 속도 제한, 서비스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죠.
이럴 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재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수 백오프: 요청이 실패할 때마다 점점 길어지는 시간 간격으로 재시도해요.
지터: 일정 범위 내에서 랜덤한 지연 시간을 추가하면, 여러 요청이 한꺼번에 몰리는 걸 방지할 수 있어요.
멱등성 키를 함께 사용하면, 요청이 여러 번 전송되어도 서버에서는 한 번만 처리하게 만들 수 있어요.
멱등성 보장
네트워크 문제처럼 명확한 이유 없이 요청이 실패할 수 있기 때문에, 멱등성은 매우 중요해요.
멱등성을 지원하는 API는 동일한 요청을 여러 번 보내더라도 한 번만 처리되므로,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어요.
Mori에서 멱등성을 보장하는 주요 API는 다음과 같아요:
POST /api/v2/orders
(학습 방지 적용 주문 생성, S3 이미지 업로드)
POST /api/v2/orders/with-urls
(학습 방지 적용 주문 생성, 외부 퍼블릭 이미지 URLs)
POST /api/v2/orders/confirm
(학습 방지 적용 주문 확인)
예를 들어, 학습 방지 적용 주문 도중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했다면, 같은 멱등성 키를 사용해 다시 요청하더라도 한 번만 처리돼요.
멱등성 키는 UUID를 쓰는것을 권장해요. 실제로 Biz서비스에서도 UUID v4를 통해 멱등성 키를 관리하고 있어요.
멱등성 키는 성공적으로 사용된 시점부터 {n}년간 유효하며, 기간이 지나면 재사용될 수 있어요.
타임아웃
API 요청에는 기본적으로 30초의 타임아웃이 적용돼요.
고객사 앱에서도 동일한 타임아웃 값을 설정해두면, 실패 시 빠르게 재요청을 보낼 수 있어서 더 안정적인 처리 흐름을 만들 수 있어요.
서버 응답 형식
API 요청에는 기본적으로 30초의 타임아웃이 적용돼요.
고객사 앱에서도 동일한 타임아웃 값을 설정해두면, 실패 시 빠르게 재요청을 보낼 수 있어서 더 안정적인 처리 흐름을 만들 수 있어요.
성공 응답 O
{
"success": true,
"message": "some message",
"data": { /* 필요한 경우 응답 데이터 포함 */ },
"meta": { /* 필요한 경우 메타 정보 포함 */ }
}
실패 응답 X
{
"success": false,
"message": "some message",
"code": "some code",
"errors": {
"message": "자세한 설명 (optional)",
"propertyName": "누락된 필드 명 (optional)"
}
}
웹훅
Mori에서는 주요 리소스 상태 변경이 발생했을 때, 해당 내용을 고객사의 앱 또는 서비스로 알려주는 웹훅 기능을 제공해요.
대표적인 이벤트 예시는 다음과 같아요:
ORDER.PROCESSED
: 주문이 처리되었을 때 발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전에 등록된 웹훅 URL로 HTTP POST 요청이 전송돼요. 이를 통해 고객사 시스템에서 후속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요.
연동 안내
/
연동 기본 정보
연동 기본 정보
MORI API를 통해 Anti-AI 필터를 적용해보세요.
앱 인증
고객사의 애플리케이션이 MORI API에 접근하려면, 반드시 액세스 토큰을 사용한 인증이 필요해요.
일부 API를 호출할 때는 이 액세스 토큰이 자격 증명(Credential) 역할을 하며, 서버로 전송되어야 합니다.
액세스 토큰을 발급받는 온보딩 절차는 아래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API 요청 재시도
API 요청은 다양한 이유로 실패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오류, 요청 속도 제한, 서비스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죠.
이럴 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재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수 백오프: 요청이 실패할 때마다 점점 길어지는 시간 간격으로 재시도해요.
지터: 일정 범위 내에서 랜덤한 지연 시간을 추가하면, 여러 요청이 한꺼번에 몰리는 걸 방지할 수 있어요.
멱등성 키를 함께 사용하면, 요청이 여러 번 전송되어도 서버에서는 한 번만 처리하게 만들 수 있어요.
멱등성 보장
네트워크 문제처럼 명확한 이유 없이 요청이 실패할 수 있기 때문에, 멱등성은 매우 중요해요.
멱등성을 지원하는 API는 동일한 요청을 여러 번 보내더라도 한 번만 처리되므로,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어요.
Mori에서 멱등성을 보장하는 주요 API는 다음과 같아요:
POST /api/v2/orders
(학습 방지 적용 주문 생성, S3 이미지 업로드)
POST /api/v2/orders/with-urls
(학습 방지 적용 주문 생성, 외부 퍼블릭 이미지 URLs)
POST /api/v2/orders/confirm
(학습 방지 적용 주문 확인)
예를 들어, 학습 방지 적용 주문 도중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했다면, 같은 멱등성 키를 사용해 다시 요청하더라도 한 번만 처리돼요.
멱등성 키는 UUID를 쓰는것을 권장해요. 실제로 Biz서비스에서도 UUID v4를 통해 멱등성 키를 관리하고 있어요.
멱등성 키는 성공적으로 사용된 시점부터 {n}년간 유효하며, 기간이 지나면 재사용될 수 있어요.
타임아웃
API 요청에는 기본적으로 30초의 타임아웃이 적용돼요.
고객사 앱에서도 동일한 타임아웃 값을 설정해두면, 실패 시 빠르게 재요청을 보낼 수 있어서 더 안정적인 처리 흐름을 만들 수 있어요.
서버 응답 형식
API 요청에는 기본적으로 30초의 타임아웃이 적용돼요.
고객사 앱에서도 동일한 타임아웃 값을 설정해두면, 실패 시 빠르게 재요청을 보낼 수 있어서 더 안정적인 처리 흐름을 만들 수 있어요.
성공 응답 O
{
"success": true,
"message": "some message",
"data": { /* 필요한 경우 응답 데이터 포함 */ },
"meta": { /* 필요한 경우 메타 정보 포함 */ }
}
실패 응답 X
{
"success": false,
"message": "some message",
"code": "some code",
"errors": {
"message": "자세한 설명 (optional)",
"propertyName": "누락된 필드 명 (optional)"
}
}
웹훅
Mori에서는 주요 리소스 상태 변경이 발생했을 때, 해당 내용을 고객사의 앱 또는 서비스로 알려주는 웹훅 기능을 제공해요.
대표적인 이벤트 예시는 다음과 같아요:
ORDER.PROCESSED
: 주문이 처리되었을 때 발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전에 등록된 웹훅 URL로 HTTP POST 요청이 전송돼요. 이를 통해 고객사 시스템에서 후속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요.
연동 안내
/
연동 기본 정보
연동 기본 정보
MORI API를 통해 Anti-AI 필터를 적용해보세요.
앱 인증
고객사의 애플리케이션이 MORI API에 접근하려면, 반드시 액세스 토큰을 사용한 인증이 필요해요.
일부 API를 호출할 때는 이 액세스 토큰이 자격 증명(Credential) 역할을 하며, 서버로 전송되어야 합니다.
액세스 토큰을 발급받는 온보딩 절차는 아래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API 요청 재시도
API 요청은 다양한 이유로 실패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오류, 요청 속도 제한, 서비스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죠.
이럴 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재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수 백오프: 요청이 실패할 때마다 점점 길어지는 시간 간격으로 재시도해요.
지터: 일정 범위 내에서 랜덤한 지연 시간을 추가하면, 여러 요청이 한꺼번에 몰리는 걸 방지할 수 있어요.
멱등성 키를 함께 사용하면, 요청이 여러 번 전송되어도 서버에서는 한 번만 처리하게 만들 수 있어요.
멱등성 보장
네트워크 문제처럼 명확한 이유 없이 요청이 실패할 수 있기 때문에, 멱등성은 매우 중요해요.
멱등성을 지원하는 API는 동일한 요청을 여러 번 보내더라도 한 번만 처리되므로,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어요.
Mori에서 멱등성을 보장하는 주요 API는 다음과 같아요:
(학습 방지 적용 주문 생성, S3 이미지 업로드)
POST /api/v2/orders
(학습 방지 적용 주문 생성, 외부 퍼블릭 이미지 URLs)
POST /api/v2/orders/with-urls
(학습 방지 적용 주문 확인)
POST /api/v2/orders/confirm
예를 들어, 학습 방지 적용 주문 도중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했다면, 같은 멱등성 키를 사용해 다시 요청하더라도 한 번만 처리돼요.
멱등성 키는 UUID를 쓰는것을 권장해요. 실제로 Biz서비스에서도 UUID v4를 통해 멱등성 키를 관리하고 있어요.
멱등성 키는 성공적으로 사용된 시점부터 {n}년간 유효하며, 기간이 지나면 재사용될 수 있어요.
타임아웃
API 요청에는 기본적으로 30초의 타임아웃이 적용돼요.
고객사 앱에서도 동일한 타임아웃 값을 설정해두면, 실패 시 빠르게 재요청을 보낼 수 있어서 더 안정적인 처리 흐름을 만들 수 있어요.
서버 응답 형식
API 요청에는 기본적으로 30초의 타임아웃이 적용돼요.
고객사 앱에서도 동일한 타임아웃 값을 설정해두면, 실패 시 빠르게 재요청을 보낼 수 있어서 더 안정적인 처리 흐름을 만들 수 있어요.
성공 응답 O
{
"success": true,
"message": "some message",
"data": { /* 필요한 경우 응답 데이터 포함 */ },
"meta": { /* 필요한 경우 메타 정보 포함 */ }
}
실패 응답 X
{
"success": false,
"message": "some message",
"code": "some code",
"errors": {
"message": "자세한 설명 (optional)",
"propertyName": "누락된 필드 명 (optional)"
}
}
웹훅
Mori에서는 주요 리소스 상태 변경이 발생했을 때, 해당 내용을 고객사의 앱 또는 서비스로 알려주는 웹훅 기능을 제공해요.
대표적인 이벤트 예시는 다음과 같아요:
ORDER.PROCESSED
: 주문이 처리되었을 때 발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전에 등록된 웹훅 URL로 HTTP POST 요청이 전송돼요. 이를 통해 고객사 시스템에서 후속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요.